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마트센서 기술의 종류와 용도별 적용 전략
    스마트팩토리 & 자동화 기술 (IoT, 산업 4.0) 2025. 4. 24. 05:51

    스마트팩토리는 모든 공정이 데이터 중심으로 운영되는 환경입니다. 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기술이 바로 ‘스마트센서’입니다. 스마트센서는 단순히 값을 측정하는 기기를 넘어서, 자체적인 판단과 통신 기능을 갖춘 지능형 장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팩토리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마트센서의 종류별 특징을 정리하고, 각각이 어떤 공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는지에 대해 실무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도입 전략까지 함께 제시하여 실질적인 적용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스마트센서 기술의 종류와 용도별 적용 전략

    1. 스마트센서란 무엇인가?

    스마트센서는 단순히 값을 측정하는 센서를 넘어, 측정, 분석, 통신 기능을 동시에 갖춘 지능형 센서입니다.

    기존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만 출력했다면, 스마트센서는 내부에서 1차 데이터를 해석하고 디지털 신호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센서의 3대 핵심 기능

    • 자체 연산 기능: 센서 내부에서 1차 분석 가능
    • 네트워크 연동: IoT, Wi-Fi, BLE 등으로 통신 가능
    • 자율 판단: 설정된 임계값 이상 시 자동 알림 또는 동작

    스마트센서는 단순한 '감지기'가 아니라 ‘작은 뇌’를 가진 장치입니다.

    2. 스마트팩토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와 용도

    1. 온도 센서 (Temperature Sensor)

    • 용도: 금속 가공, 식품 제조, 화학 공정 등
    • 스마트 적용: 온도 변화 시 자동 경고 / 냉각 시스템 연동
    • 대표 모델: RTD, 써미스터, 디지털 온도센서

    2. 압력 센서 (Pressure Sensor)

    • 용도: 유압 공정, 펌프 시스템, 액체 혼합 공정
    • 스마트 적용: 압력 이상 시 자동 밸브 차단 / 가동 중단
    • 대표 모델: MEMS 기반 압력센서

    3. 진동 센서 (Vibration Sensor)

    • 용도: 설비 이상 탐지, 모터 상태 감시
    • 스마트 적용: 진동 패턴 분석 → 고장 예측 가능
    • 활용 예시: PdM(예측 유지보수) 핵심 장비

    4. 광학 센서 (Optical Sensor)

    • 용도: 제품 위치 감지, 라인 유무 검사, 품질 검사
    • 스마트 적용: 시각 기반 검사 시스템과 연동
    • 활용 예시: 자율 로봇의 경로 인식

    5. 습도 및 기체 센서 (Humidity/Gas Sensor)

    • 용도: 식품 제조, 반도체, 화학 공장
    • 스마트 적용: 특정 가스 농도 초과 시 경보 및 자동 환기
    • 특징: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에 필수0

    3. 공정 단계별 스마트센서 적용 전략

    공정 단계 추천 센서 종류 주요 적용 방식
    원자재 입고 RFID, 바코드 센서 자동 입고 등록, 위치 추적
    가공/제조 온도, 압력, 진동 센서 공정 조건 유지, 설비 고장 감지
    품질 검사 광학 센서, 3D 스캐너 제품 외형 검사, 자동 불량 감지
    포장/출하 무게 센서, 근접 센서 포장 불량 검출, 위치 인식 자동화

    센서는 단일 목적이 아닌 공정 흐름 전체에 걸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야 효과를 발휘합니다.

    4. 센서 도입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실무 포인트

    1. 데이터 연동 방식 (유선 vs 무선)

    • 공장 구조에 따라 무선 센서가 더 적합할 수 있음
    • 보안 문제나 간섭 요소 고려 필요

    2. 프로토콜 호환성

    • 센서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MQTT, OPC-UA 등)이
      MES나 IoT 플랫폼과 호환되는지 확인 필요

    3. 설치 환경에 따른 내구성

    • 고온, 고습, 먼지 많은 환경 등에서는 산업용 전용 센서 필요
    • IP 등급 확인 필수 (예: IP67 이상)

    5. 중소기업을 위한 저비용 고효율 도입 전략

    전략 1: 우선 적용 대상 공정 선정

    • 센서를 전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고장률이 높은 설비 → 병목 공정 순으로 적용

    전략 2: 클라우드 기반 센서 플랫폼 활용

    • 스마트센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바로 분석 가능
    • 자체 서버 없이 저비용 운영 가능 (ex: AWS IoT Core, Azure IoT Hub)

    전략 3: 정부 스마트센서 도입 지원 사업 활용

    • 중기부, 산업부에서 매년 ‘스마트센서 보급 사업’ 운영
    • 설치비, 플랫폼 연동비 최대 70% 지원

    마무리: 스마트팩토리는 센서가 만드는 공장이다

    아무리 좋은 설비, 플랫폼이 있더라도 센서가 없다면 데이터는 생성되지 않고, 데이터가 없으면 스마트팩토리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센서는 단순한 부속품이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전체의 ‘감각 기관’입니다.
    이제는 센서를 ‘비용’이 아니라 ‘투자’로 인식하고,공정 구조에 맞는 전략적 센서 도입이 필요할 때입니다.

Designed by Tistory.